국민연금 카드 자동이체 등록·해지 방법 | 납부 계좌 변경 · 카드사 수수료 · 민원신청 가이드
국민연금 납부를 신용카드로 자동이체하면 편리하게 정기 납부가 가능하지만, 등록 절차와 수수료, 해지 및 계좌변경 방법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. 카드사별 수수료 차이, 자동이체 해지 후 민원신청 방법까지 함께 정리했습니다.
- 국민연금 카드 자동이체 신청 및 해지 방법 안내
- 납부 계좌 변경 시 유의사항
- 카드사 수수료 및 민원접수 팁
아래버튼을 통해 내용 확인
1. 카드 자동이체 등록 방법
- 국민연금 홈페이지 또는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(si4n.nhis.or.kr) 접속
- 공동인증서 로그인 → 납부방법 → 자동이체 신청
- ‘신용카드’ 선택 후 카드정보 입력
- 약관 동의 및 본인인증 완료 후 등록
2. 자동이체 해지 및 계좌 변경
- 같은 메뉴에서 기존 자동이체 해지 → 새 계좌 또는 카드 재등록
- 은행 납부로 전환 시 자동이체 해지 후 계좌 등록 필요
- 해지는 적용 전월 10일 이전까지 완료해야 익월부터 반영
3. 카드사별 수수료 안내 (2025년 기준)
카드사 | 수수료율 | 납부자 부담 여부 |
---|---|---|
국민카드 | 0.8% | 납부자 부담 |
신한카드 | 1.0% | 납부자 부담 |
삼성카드 | 0.95% | 납부자 부담 |
현대카드 | 0.9% | 납부자 부담 |
4. 민원 신청 방법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→ 민원신청 메뉴 선택
- ‘납부 오류 · 자동이체 이슈’ 선택 후 상세 내용 입력
- 처리 결과는 문자 또는 이메일로 회신
자동이체 신청 후에도 초기 1~2개월은 정상 승인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, 카드 유효기간 경과나 해지 시 미납으로 전환될 수 있으니 사전 점검이 필요합니다.